티스토리

Lee Young
검색하기

블로그 홈

Lee Young

lee-young.tistory.com/m

ja you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2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이반투르게네프 [연기] 독일 바덴을 배경으로 19세기 러시아 정치와 사회를 투영한 소설이다. 당시 독일에서 활동하던 러시아의 대표적인 두 그룹, 즉 농민사회주의를 표방한 진보적인 구바료프 진영과 농노해방을 비롯해 러시아의 모든 것을 농노해방 이전의 상태로 되돌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동적인 라트미로프 진영을 중심으로 한다. 그러나 공허한 토론과 논쟁만이 난무하고 특별한 이념적 지향점이 없는 구바료프 진영과 귀족정치 시대 때와 같이 사교계의 위선과 탐욕을 누리려는 리트비노프 진영은 이 소설에서 희화되고 풍자된다.두 진영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서구주의자 포투긴과 유럽식 교육을 받은 평범한 지식인이자 건실한 지주인 리트비노프는, 서구주의자이자 점진적 개혁주의자였던 투르게네프의 사회/정치적 입장을 어느정도 대변하고 있다. 그러나 .. 공감수 1 댓글수 2 2024. 12. 14.
  • [독일 인터뷰 탐사 여행] 동독 여성의 자립성 (21년 07월에 작성한 글) Michaela (her major is 'political science') interviewed (Her major is 'political science' and she was my airbnb host) 슈타지(Stagi): 국가보안부, 국가보안원 1950년부터 1990년까지 존재했던 동독의 정보기관이다. GDR: 독일 민주공화국 (=동독) AfD (Alternative fur Deutschland) 독일을 위한 대안: 보수 정당 유로화, 다문화, 동성애 반대 / 시리아 난민 수용 반대 (경제 부담과 사회 문제 발생). AfD가 득세하고 있는 지역은 과거 동독 지역인데, 동독 지역의 주민들은 통일과정에서의 불만과 함께 서독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제수준으로 인..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2. 18.
  • [독일 인터뷰 탐사 여행] 중간 보고 영상 소식. (2020.07에 작성한 글) Hello-! Instead of a newsletter, I brought a video I shared what I've been doing this term. God called me to Germany in my vacation of SBS, so I've been in Germany for about 4 weeks as a personal outreach. The theme is unified Korea, and I interviewed many people and visited histocial places. This is as topic I have to be careful about, so this time I will share it privately to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29.
  • [독일 인터뷰 탐사 여행] 소중한 친구를 만들다. Made a nice friend in German. (2020.07에 작성한 글) We've never met before. but we knew that God let us meet in this season. Before we met in person at the train station, she invited me her own house on first day we met. Second day, she took me her office. I interviewed people in that organization. she invited me her family's house in Heidelburg. I felt so much loved by their family. Their laugh and smile and every moent to eat a..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29.
  • [독일 인터뷰 탐사 여행] Intercession meeting 후기 (2020.07에 작성한 글) In Germany, there are many intercession meetings praying for a unified Korea, I went to one of those and was able to talk to many Germans. And they all said this. "Young, You are God's answer to our prayers. God Bless you." Why did this story come up? How do I start haha. I've been feeling that God is also excited to show me what he prepared for me and I can feel God is really h..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29.
  • 중국패권과 동아시아사 (2020.07에 작성한 글) "불완전한 통일일지라도 욱일승천하던 세계패권 국가 중국에 맞서 코리아의 통일을 이룬다는 것은 대단한 결의와 끈기, 용기와 지혜, 정치외교력과 군사력을 필요로 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29.
  • 베를린의 중요한 장소들 Berlin's iconic places (2020.07에 작성한 글) I've been in Berlin. and I was able to see German national consciousness. I respect that so much, I was so moved by the symbols and meanings of wonderful buildings and places, and I admired their planning abilities for those things. Traveling through Berlin's iconic places, I could feel the national charactor of the Germans, the historical attitude, and the need for education. A..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29.
  • [독일 인터뷰 탐사 여행] 실제 '독일 전역 인터뷰 탐사' 때 사용한 자기소개 정리 (2021.06에 작성한 글) 나는 디자이너다. 디자이너의 기본 자질이자 습성은 바로 문제 해결 능력이다. 디자이너들은 스토리텔링과 독창성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잡아 끄는 훈련을 지속적으로 받아왔다. 아름답고 재미있게 메세지를 전달해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믿을 수 없을 만큼 강력한 힘이다. 그리고 나는 기술을 사용하고 싶다. I’m a Graphic designer. I think The basic quality and habit of a designer i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Designers have been continuously trained to catch people’s attention with storytelling and creativity. Solv..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24.
  • 한민족 디아스포라 (2021.06에 작성한 글) 통일이 남한인과 북한인의 결합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니까. 전세계에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하나됨을 의미하는 거니까. 난 그래서 기대가 되는거야. 아주 오래전부터 고국을 떠나야 했고 지금까지 돌아오지 못한, 통일을 아주 오래전부터 바라고 기다려온, 러시아와 여러 나라에 살고 있는 고려인, 일본에서 굳이 존재하지 않는 조선 국적으로 선택해 살아가는 조선인, 난민 신분의 승인을 기다리며 사는 유럽의 북한 난민 등. 난 그들과 함께 사는 통일을 기대하고 있어. [ENG] Because unification does not mean only the union of RO Korean and DPR Korean. Because it means the unity of the Korean d..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24.
  • 가고 싶은 나라 (2021.06에 작성한 글) 공감수 0 댓글수 2 2023. 1. 24.
  • [책] 같은 민족으로서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 되었으면. (2020.03에 작성한 글) 나는 남한도 북한도 같은 민족으로서 미래에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 이게 허무맹랑한 소리가 아니고 나는 내가 살아있는 동안 그것들을 보게 될 거라 믿는다. 그때가 되어서 북한을 마냥 돈버는 기회로만 보고 덤벼드는 어떤 나라든 코리안을 얕보는 놈들은 다 그냥 혼구녕 내줄 힘을 가지고 싶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23.
  • 내 '집'의 종착점은 DPRK이다. (2020.03에 작성한 글) 내가 한국을 엄청 사랑하더라. 한국인인게 자랑스럽고 좋다. 그래서 남한과 북한을 위해 기도하기 시작했다. 해외 국제 단체에 있으면서 확연하게 더 느낀 것은, 북한과 남한의 관계를 모두가 우리의 입장에서 또는 한국을 위한 시선으로 보는 것은 아니었다. (난 이것이 꽤나 충격적이였다. 한국에서 자랐기에 그게 당연하고 익숙했기에.) 또한 그것에 대해 관심도 별로 없다. (애초에 제일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할 한국인도 관심이 없는걸) 그렇기에 나는 더 우리민족의 아픔과 그늘진 모습이 보이고 또 걱정되고 슬퍼진다. 나도 한국인이기에 묶여있는 어떠한 것들에서 풀어지기 위해 잠깐 나와있는 것 같다. (이 당시 대만에 거주하고 있었다) 내년이 많이 걱정되지만 왜 더 먼 곳으로 가야하는지..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23.
  • 나는 통일을 희망하는 사람은 아니다. (2020.03에 작성한 글) 나는 통일을 희망하는 사람은 아니다. (그리고 이마 모두에게 통일의 정의는 다 다를거다) 전문가가 아니라 함부로 말하기 조심스럽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북한과 남한이 서로 한민족으로서 그 관계가 악화되지 않기를 바란다. 그리고 언젠간 어느날. 남한 사람이 북한에 거주하며 교류하는 날이 올것이라 기대하고 기도한다. 그리고 오늘 하나님은 나에게 그 마음을 더 강하게 주셨다. 그래서 준비를 천천히 해볼까하는 마음으로 뉴스를 찾아보기 시작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23.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